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상식

부동산 임대수익 + 임대수익률, 계산법

by 금빛방망이 2024. 2. 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임대수익과 임대수익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대수익, 임대수익률

임대수익??

 

임대수익이란 부동산을 타인에게 임대하여 얻는 수익을 말합니다. 임대수익은 주로 월세나 연세로 지급되며, 임대료 수입에서 임대료 비용을 뺀 순수 수입을 의미합니다. 임대료 수입은 임대료를 받는 행위로 발생하는 수익이고, 임대료 비용은 임대료를 내는 행위로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A씨가 B씨에게 상가를 임대해 주고 월 100만 원의 임대료를 받는다면, A씨의 임대료 수입은 100만 원이고, B씨의 임대료 비용은 100만 원이 됩니다. 임대수익률이란 부동산 매입을 위해 투자한 금액과 임대수익의 비율을 말합니다. 임대수익률은 수익형 부동산의 투자 적정성을 판단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임대수익률이 높을수록 투자 효율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임대수익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임대수익률(%) = 연간 순수 수입 총액/실투자금액*100

 

여기서 연간 순수 수입 총액은 임대료 수입에서 임대료 비용, 운영비용, 대출이자 등을 뺀 금액이고, 실투자금액은 매입가액에서 보증금, 대출금액 등을 뺀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C씨가 2억 원에 오피스텔을 매입하여 보증금 1,000만 원에 월세 80만 원으로 임대하고, 1억 원을 4% 금리로 대출받았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때 C씨의 임대수익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투자금액 = 2억원 - 1,000만 원 - 1억 원 = 9000만 원

연간 순수 수입 총액 = (80만 원 * 12개월) - (1억 원* 4%) = 560만 원

임대수익률(%) = 560만 원/9000만 원*100 = 6.22

 

 

 

따라서 C씨의 임대수익률은 약 6.22%가 됩니다.

 

 

 

부동산계산기

부동산계산기 DTI DSR LTV 등기수수료 법무사수수료 공인중개사 중개수수료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공동명의 임대수익률 대출가능액

xn--989a00af8jnslv3dba.com

 

유의할 점?

 

임대수익률을 계산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 임대수익률은 부동산의 보유기간 동안 발생하는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부동산의 매도시점에 발생하는 매매수익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매매수익은 부동산 매입을 위해 투자한 금액과 매입 이후 시세 변동에 따라 거둔 이익의 비율로, 매매수익률이라고 합니다. 부동산 투자로 거둘 수 있는 이익은 임대수익과 매매수익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 임대수익률은 대출 등 타인의 자본을 활용하는 경우 레버리지 효과에 영향을 받습니다. 레버리지 효과란 타인의 자본을 활용하여 자기 자본의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타인자본을 활용하는 경우 그만큼 투입해야 하는 자기자본은 줄어들므로, 같은 수익이 발생하더라도 자기자본 대비 수익률은 증가하게 됩니다. 레버리지를 적절하게 활용하면 수익률을 높일 수 있지만, 반대로 투자 안에서 손실이 발생하면 손실률 또한 높아지므로, 레버리지 효과를 흔히 양날의 검이라고 비유하기도 합니다. 대출 등 타인자본을 활용하기에 앞서 부동산 시장의 동향과 경제 상황 등을 고루 살펴보고 현명한 판단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 임대수익률은 부동산의 종류, 위치, 규모, 품질, 시장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대수익률을 계산할 때는 다른 투자안과 비교하거나 목표수익률과 비교하여 투자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임대수익률이 5% 이상이면 투자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임대수익과 임대수익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임대수익과 임대수익률은 부동산 투자의 기본적인 개념이므로, 잘 이해하고 본인에게 맞는 투자 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부동산 구매 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GookLuck!!!

반응형